순천만, 제 2의 변화
◀ANC▶
순천만 하구 내륙습지 지정 추진 사업에
순천만 역간척 사업까지
순천만의 온전한 생태적 가치를 키우기 위한
다양한 사업들이 내년부터 본격화됩니다.
순천시의 이같은 계획에 대해
지역 사회는 강한 기대감 속에서도
풀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는 반응입니다.
김주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순천시가 순천만 간척지를
갯벌로 복원하려는 역간척 사업 계획에 대해
지역 사회는 대체적으로 기대감을 보였습니다.
큰 틀에서 순천만 갯벌 복원을 찬성하면서도
농지의 역간척 부분에 있어서 만큼은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INT▶박기영 교수
(갯벌은 흙만 있다고 갯벌이 아니거든요. 그 속에 들어있는 미생물과 다양한 생물과 저서동물과 이런 것들이 모두 어우러져서 좋은 생태계를 이룰 때 좋은 갯벌이 되기 때문에 갯벌이 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순천시는 순천만 역간척 사업을 서두르지 않고
지역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INT▶이기정 과장
(장기적으로 보고 할거고요. 다만 폐염전 새우양식장은 1차적으로 하고요. 그대신 순천만에서 도심 쪽으로 이어지는 생태 수로는 기수역은 뚫어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순천시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순천만 하구 내륙습지 보호구역 지정 사업도
주민 대책이 우선 고려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INT▶ 장채열 소장
(소외감을 충분히 잘 고려해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대화를 하고 그에 상응하는 지원책, 현실적인 지원책, 보상책을 마련해 추진해 나가야 되겠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최근 순천으로 이전이 결정된
람사르 동아시아지역센터는
앞으로 순천만이 종 다양성을 유지하고
종합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생태습지 순천만을
온전히 지키고 보전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들이
어느 정도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MBC NEWS 김주희입니다.
순천만 하구 내륙습지 지정 추진 사업에
순천만 역간척 사업까지
순천만의 온전한 생태적 가치를 키우기 위한
다양한 사업들이 내년부터 본격화됩니다.
순천시의 이같은 계획에 대해
지역 사회는 강한 기대감 속에서도
풀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는 반응입니다.
김주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순천시가 순천만 간척지를
갯벌로 복원하려는 역간척 사업 계획에 대해
지역 사회는 대체적으로 기대감을 보였습니다.
큰 틀에서 순천만 갯벌 복원을 찬성하면서도
농지의 역간척 부분에 있어서 만큼은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INT▶박기영 교수
(갯벌은 흙만 있다고 갯벌이 아니거든요. 그 속에 들어있는 미생물과 다양한 생물과 저서동물과 이런 것들이 모두 어우러져서 좋은 생태계를 이룰 때 좋은 갯벌이 되기 때문에 갯벌이 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순천시는 순천만 역간척 사업을 서두르지 않고
지역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INT▶이기정 과장
(장기적으로 보고 할거고요. 다만 폐염전 새우양식장은 1차적으로 하고요. 그대신 순천만에서 도심 쪽으로 이어지는 생태 수로는 기수역은 뚫어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순천시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순천만 하구 내륙습지 보호구역 지정 사업도
주민 대책이 우선 고려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INT▶ 장채열 소장
(소외감을 충분히 잘 고려해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대화를 하고 그에 상응하는 지원책, 현실적인 지원책, 보상책을 마련해 추진해 나가야 되겠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최근 순천으로 이전이 결정된
람사르 동아시아지역센터는
앞으로 순천만이 종 다양성을 유지하고
종합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생태습지 순천만을
온전히 지키고 보전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들이
어느 정도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MBC NEWS 김주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