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걸음 더] 집중취재사회뉴스데스크

[한걸음더]④농촌에 집중한 연구, 정책 필요

(앵커)
광주MBC는 앞서 세 차례에 걸쳐
농촌 치매노인에 대한 기획보도를 했습니다.

오늘은 이 문제에 대해,
취재 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김초롱 기자, 먼저 치매에 대해서 
간략한 설명 부탁합니다.

(기자)
치매라는 건 
여러 원인으로 뇌가 손상되면서
기억력이나 언어 능력, 판단력 등이 떨어지고,
이 때문에 일상생활이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제가 놀랐던 게, 경증 치매 어르신께 전화해서
취재에 대해 설명하고 만날 시간을 정했는데요.

너무나 말씀을 잘하셔서, 
치매가 맞으신가 할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약속 시간에 댁에 안 계셔서, 
다시 전화를 드렸더니, 불과 몇 시간 전에
저와 통화했던 것 자체를 기억 못 하셨습니다.

자세히 살피지 않으면 알기 어려운 겁니다.


농촌 노인들은 특히나, 
자녀가 도시 등 멀리서 지내는 경우가 많아서
초기 대응이 더 어렵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이런 농촌 치매노인을 위한 
정책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기자)
농촌에 특히 초점을 둔 치매 정책이 있냐고
보건복지부에 물었는데요,
'없다'라는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농촌 만을 특정한 사업은 없지만,
치매 검사나 치료 등을 하는 
치매안심센터 250여 개를 만들었고,
찾아가는 서비스 등을 하고 있다고 했는데요.

앞서 보도했듯이, 한마디로 ‘역부족’입니다.

시설도 전문 인력도 턱없이 부족하고요,
노인분들이 센터를 찾아가는 것도 어렵습니다.

특히, 치매노인의 안전과 직결되는 
실종 관련 정책은 위치 추적을 하는 배회감지기, 
치매노인이라는 걸 알리는 인식표, 지문등록 등이 있는데요.

감지기는 보급률이 0.6%에 불과하고,
기기를 받아도 충전 등이 어려워서
어르신들이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이에 대해 
기기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홍보, 안내를 하고 있다고
형식적인 답변을 보내왔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정책을 
만들어야 할까요?

(기자)
치매 연구에 
매년 정부 예산 약 100억 원이 쓰이는데,
원인 규명이나 치료법 등에 대한 것이고요,

국내에 농촌에 집중한 연구는 
거의 없는 게 현실입니다.

전문가 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

* 허준수 숭실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우리나라에서 복지는 도시복지거든요. 
근데 외국에서는 농촌 사회사업, 농촌 사회복지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특별히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 어르신에 대한 연구가 아주 부재하고요.”


특히 우리 지역은 나주시처럼 
도시와 농촌이 섞인 도농복합도시가 있으니까, 
시군 단위보다 작은 읍면동 단위의
맞춤형 전문연구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해야, 농촌에 사는 치매노인이라고
더 어려움을 겪는 일이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네, 농촌 치매노인들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잘 들었습니다.



#농촌 #치매 #노인 #대책 #연구 












































김초롱
광주MBC 취재기자
시사보도본부 시사팀 탐사*혁신 담당

"더 따뜻하게 더 날카롭게"

최신 뉴스